갑상선암 극복하기, 초기 증상이 없어 미리 대비해야 해요!

보통 갑상선암 완치율은 5년보다는 10년을 보는 경향이 많다. 워낙 천천히 자라는 특성상 늦게 재발할 때도 있고 생존율이 높기 때문이다. 암이 장기 내에만 있는 제한적 상황에서는 거의 100% 완치율을 보이고, 암이 주변 림프선이나 주변 조직 등에서 적은 침윤을 보이는 국소적 침범이 있을 때도 꾸준히 치료하면 94% 정도 완치된다. 다만 폐나 뼈 등 다른 장기로 전이가 있을 경우 생존율이 60%까지 떨어질 수 있다. 갑상선암 예방을 위해서는 미역, 다시마 등에 풍부한 요오드 성분을 너무 많이 먹지 말고 과식해서도 안 된다. 한국인은 평균적으로 요오드를 많이 먹기 때문에 요오드 섭취를 위해 노력할 필요가 없다. 비만은 갑상선암의 고위험 요소이기 때문에 감량해야 한다. 어릴 때 방사선에 노출되는 것은 피해야 한다. 불필요하게 CT 촬영 등은 해서는 안 된다. 헬스조선 이금숙 기자 [email protected]

목에 혹이 닿거나 삼킬 때 힘든 느낌이 든다면 갑상선암을 의심해봐야 한다.

갑상선은 목의 중간에 있는 나비 모양의 기관에서 몸에 필요한 갑상선 호르몬을 분비한다. 갑상선 암은 초기에 증상이 거의 없다. 이미 증상이 있는 정도면 갑상선 암의 크기가 큰 것이다. 갑상선은 목 아래에 있지만 침을 삼키며 때에 혹 같은 사물이 움직이는 경우 갑상선 암을 의심해야 한다. 목 쉰 목소리가 나올지도 모른다. 목소리의 신경이 암으로 손상을 받았을 때, 목 쉰 목소리가 나온다. 목에 혹이 닿거나 음식을 삼키며 때 목에 뭐가 걸리는 느낌이 들기도 한다. 갑상선 암은 주로 여성에게서 많이 본다. 남성과 비교하면 3~4배 정도 많다. 주로 발생하는 연령층은 40~50대이다. 여성의 경우 호르몬의 영향 임신·출산과 관련해서 갑상선 질환에 노출하기 쉬운 것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남자보다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갑상선 암 검진, 40대 후반의 여성이라면 한번은 검사를

갑상선에 있는 종양이 1cm 미만으로 작다면 당장 수술을 고려할 필요는 없다.

갑상샘암의 경우 검진 연령이 결정된 것은 아니지만, 여성이 남성보다 발생률이 3~4배나 높고, 40대 후반부터 발병이 많아지기 때문에 40대 후반의 여성이라면 한번은 갑상선 암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 검진은 초음파가 기본이다. 갑상선 암은 가족력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집안에 갑상선 암이 2~3명 이상 있는 경우 20대에 1회 검진하고 30대에 1번 하자. 10년 간격으로 봐도 된다. 초음파 검사로 종양이 1cm이상으로 큰 경우에는 조직 검사를 고려해야 한다. 한때 과잉 검진의 문제가 있었던 것은 초음파상 1센티미터 미만의 종양도 모두 조직 검사를 하고 너무 작을 때 암을 발견하고 갑상선을 절제하고 평생 약을 먹는 경우가 있었기 때문이다. 갑상샘암은 예후가 좋아서 작은 종양을 대상으로 조직 검사를 지나치게 하는 것은 득보다 실이 많다는 결론이 나왔다. 그러나 1cm미만에서도 림프샘 전이가 많았으며, 갑상샘 피막을 뚫고 근육 침범이 의심될 경우 조직 검사를 실시한다. 갑상샘암 기도·식도 근처에 붙어 있을 때도 크기에 관계 없이 조직 검사를 해야 한다. 한편, 종양 크기가 1cm미만으로 작은, 림프샘 전이가 아닌 갑상선을 감싸고 있는 피막으로 침범이 없으면”능동적 감시”를 하도록 국내외의 갑상샘 학회에서는 권고하고 있다. 능동적 감시는 즉시 조직 검사와 수술하지 않고 지켜보는 것을 의미한다. 종양이 더 커지거나 크게 되거나 하면, 그 때 수술을 하라는 것. 능동적 감시를 하면 6개월 간격으로 갑상선에서 나오는 단백질(다이로 글로블린)을 검사해야 한다. 단백질의 양이 갑자기 2~3배로 늘어나면 초음파 검사를 한다. 능동적 감시를 하고 종양이 3mm이상 커지거나 림프선 전이가 생기면 수술해야 한다. 일본에서 나온 논문을 보면, 능동적 감시 대상자의 5~6%에서 병이 진행하며 수술은 1~2%로 했다. 94~95%는 병이 진행하지 않았다. 갑상선 안에 종양이 1cm미만에 머물고 있으면 곧바로 조직 검사와 수술할 필요가 없다. 갑상선 암 수술, 최대한 줄이는 경향

갑상선암 수술은 흉터가 남기 때문에 최근에는 내시경 수술이나 로봇 수술을 많이 시도한다.

갑상선 암 수술은 과거와 달리 가급적 암 있는 분들만 제거하고 갑상선의 기능을 활용하려는 경향이다. 양쪽 제거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한쪽 갑상선만 제거하면 된다. 모두 제거해야 할 때는 종양의 크기가 4cm이상으로, 임파선의 침범이 많아 기도에 딱 붙어 근육의 침범이 있을 때 폐·뼈 등으로 원격 전이가 있을 때이다. 갑상선에 암이 복수 있는 경우에도 모두 벗는 편이 유리하다. 1%의 재발도 싫어하는 환자도 모두 제외. 단, 수술을 하려고 목에 흉터가 남는다는 단점이 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요즘은 내시경 수술이나 로봇 수술을 시도한다. 옆에 5㎝의 절개 창문 또는 양쪽 겨드랑이와 가슴의 유륜 부분에 작은 구멍을 뚫고 카메라와 수술 기구를 넣어 보이는 흉터가 적은 것이 장점이다. 그러나 피부 내부에 역시 상처가 생기고 수술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갑상선 암은 수술 후에 방사성 요오드 치료를 해야 할 일도 있다. 갑상선을 모두 떼어 낸 환자 중 암 세포가 남아 있다고 의심 환자가 대상이다. 암의 크기가 4cm이상에서 암이 갑상선 피막을 뚫고 나오고, 림프샘 전이가 있는 폐와 다른 장기로 전이가 있을 때 적용한다. 갑상선 암 치료, 갑상선 내에 종양이 있는 경우는 거의 100%완치

갑상선암 예방을 위해서는 요오드 성분을 과도하게 섭취하거나 너무 적게 섭취해서는 안 된다.

보통 갑상선 암의 완치율은 5년보다 10년을 보는 경향이 많다. 너무 천천히 자라는 특성상, 늦게 재발할 때도 있고 생존율이 높기 때문이다. 암이 장기 내에만 있는 제한적 상황에서는 거의 100%완치율을 나타내며 암이 주변 임파선과 주변 조직 등에서 적은 침윤을 보여국소적 침범이 있을 때도 꾸준히 치료하면 94%정도 완치된다. 다만 폐나 뼈 등 다른 장기로 전이가 있을 경우 생존율이 60%까지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갑상선 암 예방을 위해서는 미역, 다시마 등에 풍부한 요오드 성분을 많이 먹지 않고 많이 먹어서도 안 된다. 한국인은 평균적으로 요오드를 많이 먹으니, 요오드 섭취 때문에 노력할 필요는 없다. 비만은 갑상선 암의 고위험 요소이기 때문에 감량해야 한다. 어릴 때 방사선에 노출되는 것은 피해야 한다. 불필요하게 CT촬영 등은 해서는 안 된다. 헬스 조선의 이·구무 스쿠 기자 [email protected]

보통 갑상선암 완치율은 5년보다는 10년을 보는 경향이 많다. 워낙 천천히 자라는 특성상 늦게 재발할 때도 있고 생존율이 높기 때문이다. 암이 장기 내에만 있는 제한적 상황에서는 거의 100% 완치율을 보이고, 암이 주변 림프선이나 주변 조직 등에서 적은 침윤을 보이는 국소적 침범이 있을 때도 꾸준히 치료하면 94% 정도 완치된다. 다만 폐나 뼈 등 다른 장기로 전이가 있을 경우 생존율이 60%까지 떨어질 수 있다. 갑상선암 예방을 위해서는 미역, 다시마 등에 풍부한 요오드 성분을 너무 많이 먹지 말고 과식해서도 안 된다. 한국인은 평균적으로 요오드를 많이 먹기 때문에 요오드 섭취를 위해 노력할 필요가 없다. 비만은 갑상선암의 고위험 요소이기 때문에 감량해야 한다. 어릴 때 방사선에 노출되는 것은 피해야 한다. 불필요하게 CT 촬영 등은 해서는 안 된다. 헬스조선 이금숙 기자 [email protected]

보통 갑상선암 완치율은 5년보다는 10년을 보는 경향이 많다. 워낙 천천히 자라는 특성상 늦게 재발할 때도 있고 생존율이 높기 때문이다. 암이 장기 내에만 있는 제한적 상황에서는 거의 100% 완치율을 보이고, 암이 주변 림프선이나 주변 조직 등에서 적은 침윤을 보이는 국소적 침범이 있을 때도 꾸준히 치료하면 94% 정도 완치된다. 다만 폐나 뼈 등 다른 장기로 전이가 있을 경우 생존율이 60%까지 떨어질 수 있다. 갑상선암 예방을 위해서는 미역, 다시마 등에 풍부한 요오드 성분을 너무 많이 먹지 말고 과식해서도 안 된다. 한국인은 평균적으로 요오드를 많이 먹기 때문에 요오드 섭취를 위해 노력할 필요가 없다. 비만은 갑상선암의 고위험 요소이기 때문에 감량해야 한다. 어릴 때 방사선에 노출되는 것은 피해야 한다. 불필요하게 CT 촬영 등은 해서는 안 된다. 헬스조선 이금숙 기자 [email protected]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