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석증

담석증이란 담도에 결석이 생기는 병을 총칭하는 말입니다. 담도 중에서도 어디에 결석이 생기느냐에 따라 담낭결석(약 80%), 담관결석(약 20%), 간내결석(약 2%)으로 나뉩니다. 담석은 담즙에 포함된 성분이 결정화되어 굳어지는 경우가 있으며 성분에 따라 결석을 부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국내에서 담석증에 걸리는 사람의 수는 식생활의 서구화와 고령화에 의해 증가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만, 그 빈도는 10명 중 1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담석증 중에서도 담관결석의 경우 방치하면 담관염이라는 질병으로 진행되어 중증이 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 글은 담석증에 대해 궁금한 분들을 위한 것이므로 끝까지 정독해 주시기 바랍니다.
담석증이 왜 생기지?

담석증이란 담도에 결석이 생기는 상태를 말하며 담석은 담즙에 포함된 성분이 결정화하여 굳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담석은 성분에 따라 콜레스테롤석과 색소석(빌리루빈칼슘석, 흑색석)으로 나뉘며 각각 원인이 다릅니다.
콜레스테롤석은 담즙의 콜레스테롤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발생하며 색소석 중 빌리루빈칼슘석이라는 담석은 담즙의 세균감염이 원인이 되어 발생합니다. 그러나 흑색석이 생기는 원인은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고 있습니다.
이들 담석 중 가장 빈도가 높은 것은 콜레스테롤석으로 비만, 여성, 출산을 많이 한 사람, 당뇨병 환자,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거나 혈연자에게 담석증 환자가 있는 경우에는 위험이 높아진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증상은 이렇습니다.

담석증의 주된 증상은 담도통이라고 불리는 오른쪽 늑골 밑 부근의 통증, 명치 통증, 오른쪽 어깨의 통증으로 식후에 나타나기 쉬운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황달이 일어나 피부와 흰자위가 노랗게 되거나 빌리루빈뇨라는 갈색에서 검은 소변이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한편 담석증의 20 ~ 30%는 증상이 거의 없는 경우도 있으며, 무증상 담석이라고 합니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담낭과 담관에 염증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염증이 발생하면 고열이 나는 것 외에 세균 감염이 가해지면 패혈증이라고 불리는 심각한 질병이 될 수도 있어요.
검사와 진단

담석증은 담도통 등을 꾹꾹 눌러 진찰을 받고 화상 검사를 바탕으로 진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담석증 검사에서 흔히 시행되는 영상검사는 복부초음파검사, CT, MRCP(자기공명담관췌관조영검사), ERCP(내시경 역행성 담관조영검사) 등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복부 초음파 검사가 이루어지지만, 증상이 나오지 않는 경우에도 건강 검진에서의 복부 초음파 검사에서 발견될 수 있습니다. 영상검사는 담석의 유무 외에 담석의 크기, 개수, 담낭의 상태 등을 확인합니다.
치료 방법

담석증으로 인해 통증 등의 증상이 보이는 경우에는 수술을 하게 됩니다. 담석만 제거해도 재발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담석증 수술에서는 담낭을 통째로 제거하는 담낭 절제술을 시행합니다.
담낭 절제술은 복강경하 수술과 개복 수술이 있으며, 전신 마취로 이루어지게 됩니다. 신체의 부담이 적은 복강경하 수술이 제일이지만, 수술이 어려운 경우는 개복 수술을 합니다.
또한 담석의 상태에 따라 약물치료나 체외충격파 담석파쇄요법이라 불리며 체외에서 충격파를 방출하여 담석을 파쇄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합니다.

통증이 없는 무증상 담석의 경우는 치료를 하지 않고 경과를 관찰하지만, 담관의 출구가 막혀 담관염이 된 경우에는 무증상 담석을 제거하는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 후에는 경과 관찰이 중요하지만 담석증은 담석이 생기는 부위나 치료 방법에 따라 재발하거나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담낭 결석으로 담낭을 제거한 경우는 기본적으로 재발 위험이 낮지만, 담관 결석이나 간 내 결석에서는 담석이 재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람에 따라서는 담관이나 담낭에 염증이 생기는 담관염이나 담낭염, 담즙울체, 간내 담관암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치료 후에도 의사의 지도 하에 정기검사를 지속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방.

담석은 식사 등의 생활습관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평소부터 식사에 주의하여 담석의 형성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콜레스테롤이나 지질이 많은 식사는 위험이 높아지므로 과도한 섭취를 삼가고 단백질과 식이섬유를 포함한 균형 잡힌 식사를 계속하도록 합니다. 비만은 담석증의 위험인자이지만 과도한 다이어트는 담석 형성의 위험을 높이기 위해 적당한 식사와 운동을 지속적으로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