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와 대한상공회의소는 오늘(15일) 제5차 산업융합규제특례심의위원회를 열고 총 14건의 규제특례(규제 샌드박스)를 승인했다.

자율주행 로봇이 공원을 돌며 시민들에게 책을 빌려주는 스마트 도서관 로봇이 국내에 처음 등장할 예정이다.
또 요소수가 필요 없는 수소전기트럭도 물류 현장에 투입되며 사용 후 배터리를 활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소도 추가로 문을 연다.성남시청이 신청한 자율주행 스마트도서관 로봇도 실증특례 승인을 받았다.
길이 1.8m, 높이 1.2m, 무게 400kg의 도서관 로봇은 책 100권을 싣고 탄천 산책로(탄천교야탑교) 지점별로 일정 시간 머물며 시민들에게 도서를 빌려준다.
성남시 공공도서관에서 발급받은 회원증만 있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현행법상 자율주행 로봇은 차량에 해당돼 보도와 횡단보도를 주행할 수 없다. 또 공원에선 무게 30kg 미만의 동력장치만 통행할 수 있다.
그러나 심의위는 현재 유사한 로봇이 별다른 사고 없이 실증 테스트를 하고 있다며 실증 특례를 줬다.요소 수가 필요 없는 친환경 수소전기트럭을 활용한 물류 서비스도 심의를 통과했다.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는 현대차가 제작한 10t급 수소전기트럭(엑시언트)을 1대 구입해 화물 운송에 활용된다.
올해 9월 샌드박스를 통과한 현대차, CJ대한통운, 현대글로비스의 사업과 같다.
현행법상 화물차 운송사업의 증차는 원칙적으로 금지되며 수소전기트럭을 사용하려면 기존 보유 트럭과 교체해야 했다.국내 최초로 바나듐이온전지(VIB)가 적용된 에너지저장장치(ESS)를 활용한 전기차 충전소도 심의를 통과했다.
스탠더드에너지가 신청한 VIBESS는 하이마트 압구정점 지상에 설치된다. 현재는 VIB를 적용한 ESS는 기술기준이 없어 인허가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심의위는 VIB가 물 성분의 수계 전해액을 사용해 화재 위험이 적다고 보고 안전성 검증과 기술기준 마련을 위한 실증특례를 승인했다.SK온-SK 친환경 플랜트 컨소시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현대차 컨소시엄, 휴렘은 전기차 폐배터리를 활용한 ESS 운영을 위해 실증특례를 신청하고 승인을 받았다.
이들 업체는 사용 후 배터리로 제작한 ESS를 건설현장 수배 전반(SK온), 주거단지의 태양광 발전설비(현대차), 가정용 파워박스(휴렘)에 활용할 계획이다.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전기차 충전소도 새롭게 문을 여는
대은행은 태양광 발전 설비로 생산한 전력을 한전 송배전망을 통하지 않고 전기차 충전소로 직접 보내 충전할 계획이다.
남는 전력은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를 재사용한 ESS를 활용해 필요한 시간에 충전전력을 제공한다. 실증지역은 제주도이다.
문승욱 산업부장관은 “최근 탄소중립과 관련한 다양한 사업모델로 규제유예를 신청하는 기업이 늘고 있는 지난 유엔기후변화협약(COP26)을 통해 세계적으로 탄소중립 추진이 본격화됨에 따라 기업들이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도 가속화하기 시작한 것 같다”고 평가했다.[대한상공회의소 제공]자율주행 로봇이 공원을 돌며 시민들에게 책을 빌려주는 스마트 도서관 로봇이 국내 최초로 등장할 예정이다. 요소수가 필요 없는 수소전기트럭도 물류현장에 투입되며 사용 후 배터리를 활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소도 새롭게 오픈합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대한상공회의소는 biz.sb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