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의사항 : 책은 개인 공부용으로 학교 수업, 책, 유튜브를 포함하여 이해에 도움이 되는 자료들을 참고하였으며, 작성자가 이해한 대로 작성하였습니다. 잘못된 정보가 있으면 지적해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ㅠㅠ. 오자서나 오자도 지적해주시면 즉시 수정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 글을 읽으시고 조금이나마 공부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자율신경계에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있다. 부교감신경은 휴식과 소화반응을 일으키는 신경으로 절전신경의 신경절과 절후신경의 신경절에서 모두 아세틸콜린(Ach)이 자극을 전달한다.

부교감 신경전달 경로 부교감 신경물질인 ‘아세틸콜린’의 전달 과정

부교감신경절후신경절의 확대 (아세틸콜린작용기 전)절후신경절의 아세틸콜린은 6단계를 순환한다.1. 합성 포도당에서 분해된 피루브산에 의해 생성된 Acetyl CoA와 신경절에 있는 Choline이 합성되어 Achetylcholine이 만들어진다.2. 저장 생성된 Achetyl choline은 소포에 저장된다.3. 방출신경 말단에서 Achetylcholine이 방출된다. 4. 결합 Achetylcholine은 수용체와 결합한다.5. 분해아세틸콜린분해효소인 AchE에 의해 Choline과 Acetate로 분해된다.6. 재사용 Choline은 신경 말단에서 재흡수되어 다시 Acetyl CoA와 합성하기 위해 재사용된다.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Acetylcholine sterase, AchE)는 아세틸콜린을 분해하는 효소로 아세틸콜린이 수용체와 결합하는 것을 방해하는 역할을 하여 부교감신경의 휴식과 소화반응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일반적으로 부교감신경과 교감신경은 반대작용을 하므로 부교감신경을 자극하면 교감신경은 억제되고 반대로 부교감신경을 억제하면 교감신경의 영향이 커진다.부교감신경의 휴식과 소화반응을 어떻게 약물로 조절할 수 있을까?부교감신경의 주요 물질인 아세틸콜린과 아세틸콜린을 분해하는 효소인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를 조절함으로써 부교감신경을 조절할 수 있다. 약물로 부교감신경을 활성화 시키려면 Ach를 자극하여 활성화 시키거나 AchE를 억제시켜 부교감신경의 반응을 보일 수 있다. 반대로 Ach를 억제하거나 AchE를 자극해 부교감신경의 반응을 억제할 수 있다.아세틸콜린(Ach)조절시 △아세틸콜린자극(부교감신경자극됨) △아세틸콜린억제(부교감신경억제됨)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AchE)조절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자극(부교감신경억제됨)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부교감신경자극됨)
콜린성=부교감신경의 반응을 촉진시키는 성질=콜린성은 부교감신경의 반응을 촉진시키는 성질을 말한다. 부교감 신경을 촉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Ach와 유사한 기능을 가진 약물을 투여하여 수용체와 결합시키거나 AchE를 감소시켜 Ach가 수용체와 결합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Ach와 유사한 기능을 하여 Ach수용체에 직접 결합하는 것으로.(직접작용)-bethanechol-pilocapine AchE를 억제시켜 방해능력을 감소시킨다.(항콜린에스테라아제으로도 불리는 간접 작용)-physostigmine-donepezil(Aricept)■ 콜린 작동성 약물 효과-녹내장 환자 치료(안압을 감소시키는 것)-소뵤은랴은 증가(요도 평활근 자극)-중증 근 무력증 완화·알츠하이머 병의 치료
■ bethanechol-bethanechol은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직접 결합하는 작용을 하면서 정상 아세틸콜린보다 강한 효과를 나타낸다.-정맥이나 근육 주사는 금지. 구강 또는 피하 주사로 투여(하나의 경로로만 투여)-신경절의 Ach에는 작용하지 않기.
■ physostigmine-비선택적으로 작용(모든 신체에 작용)-녹내장 수술 시에 안압 낮추는 목적으로 사용-골격근 수축·알츠하이머 병 치료 구강 건조 치료
■ 콜린 작동성 위기:콜린 작동성 약물을 과량 투여 시 발생하는 징후 타액 분비 과다, 작은 동공, 근육 경련, 창백, 발한, 근육 약화, 호흡 곤란 등
부교감 신경의 자극이 과도한 경우, 부교감 신경을 억제시키는 ‘atropine’을 투여한다.
도장 루링송=부교감 신경의 반응을 억제하는 송질항코링 작동성 약물은 아세틸콜린의 역할을 억제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무스카린 길항제, 부교감 억제제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도장 루링송 약물은 투쟁 또는 도피 반응(교감 신경 반응을 촉진시킨다. 한 콜 린 약물은 무스 카린 수용체와 결합하고 아세틸콜린이 수용체와 결합하는 곳을 빼앗아 버리고 콜린 효능성 반응을 차단시키고 만다. 도장 루링송 약물은 부반응 발생률이 비교적 높다.Ach를 억제하는 약물-atropine-scopolamine-tropicamide-benzotropine-donepezil-ipratropium■ 도장 루링송 약물 효과-콜린 작동성 위기의 감소를 위하여-위장 운동의 감소(과도한 위산 분비, 설사를 완화시키기 위해서)-안과 수술(동공을 확대시키는 것)-심장 박동 수 증가-과도한 호흡의 분비물 감소-빈맥 회복
■ atropine-아트로핀은 부교감 신경이 과잉한 경우 자주 사용되는 약물이다.-아세틸콜린 수용체를 두고 Ach와 경쟁한다.
■ scopolamine-, 자율 신경계 작용보다는 중추 신경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사용된다.
간호· 적절한 조명과 안전 장치 제공#참고:콜린 작동성 약물의 경우, 축동이 되어 어두운 곳에서 보기 어렵거나 눈이 흐려질 수 있다.
-부작용 관찰#참고:콜린제의 부작용(과잉한 침 분비, 발한, 복부 경련, 졸도, 저혈압 등), 항 코린제의 부작용(졸음, 흐린 시력, 빠른 맥, 구강 건조, 배뇨 지연, 발한 감소, 안압 상승 등)참고 1. 간호사를 위한 약리학_2019_이·윤 미 외_수문사 2.YouTube_박 억 타카시 강의_ht.be/ThZYC48c5nA수정일 2020.12.25사진 변경 내용 추가 및 참고 자료 추가 2021.01.28콜린 효능성 약물 효과 중 중증 근 무력증 완화 내용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