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Naverimage
요즘 자동차에 대한 관심사 중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자율주행이라고 생각합니다. 행선지를 내비게이션 입력만 하면 차 안에서 자든 게임을 하든 차로 마음대로 목적지까지 가는 것은 상상만 해도 즐겁습니다.
2016년 국제자동차기술자협회(SAE International)가 분류한 자율주행기술 단계는 글로벌 기준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레벨 0 : 비자동화 차량의 조향 및 속도 조절을 포함한 모든 기능을 운전자가 직접 제어하는 단계로, 자율주행 이야기가 나오기 전의 모든 차량이 해당됩니다.
레벨 1 : 드라이버 보조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이 적용되는 단계입니다.
특징 : 주행속도를 설정해두면 차가 스스로 설정된 속도에 맞게 주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뿐 차선 유지 또는 전방의 물체 인식은 할 수 없습니다.
레벨 2 : 부분 자동화 스마트 크루즈, 차선 유지, 그 밖에 몇 가지 자동 제어 기능이 작동하고 운전을 보조합니다. 이를 위해 카메라도 설치됩니다.
특징 : 주행속도를 설정해두면 차량 스스로 앞차와의 간격과 차선을 유지하면서 설정된 속도에 맞게 주행합니다. 단, 핸들을 손으로 잡고 대부분의 차량은 고속도로에서만 효과가 있으며, 일반 도로에서는 아예 실행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직 완벽하지 않아 사고 예방 수준이지만 현존하는 차량 중 자율주행기술이 가장 뛰어나다는 테슬라 차량이 사고를 계속 내는 이유입니다.
현재 생산되고 있는 대부분의 차량이 [레벨 2]에 해당합니다. 더 기능이 좋은 차는 [레벨2.5]라고도 합니다.
레벨 3:조건부 자율주행차가 교통상황을 파악하여 운전하고, 조건이 맞지 않을 때에는 운전자가 운행하는 단계입니다.
특징: 고속도로에서만 자율주행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서울에서 부산까지 경로 설정을 해 놓은 후 고속도로에 진입하여 부산 톨게이트에 도착할 때까지 운전대를 잡지 않아도 될 정도입니다.
2018년 아우디 A8에 세계 최초로 조건부 [레벨 3] 자율주행기술이 탑재되었는데, 고속도로에서 시속 60km/h 이하로 주행 중일 경우에만 활성화 할 수 있는 절반 수준이었습니다. 정체구간에서만 쓸 수 있거든요.

세계 최초 레벨 3 자율주행 타이틀을 획득한 아우디 A8 출처 네이버 image
2022년에 발매되는 제네시스 G90에 ‘레벨 3’의 자율주행이 탑재된다고 하는데, 어느 정도 수준일지 기대가 됩니다. 고속주행중이라도 가능하다면 세계최초

제네시스 G90 2022 출처 N averimage
레벨 4 : 고도 자율주행의 악천후 등 특정 상황을 제외하고는 차량이 스스로 운전하는 단계입니다.
특징 : 고속도로 또는 자율주행 인프라가 완비되어 있는 도심에서는 잠을 자도 상관없는 수준입니다 그러나 일반 도로에서는 자율주행을 제한적으로 지원합니다.
일반 도로는 차선이 없는 구불구불한 도로 또는 비포장 도로도 있고, 다양한 변수가 너무 많아 모든 상황에 대비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레벨 5: 완전 자율주행 단계의 문자 그대로 모든 상황에서 차량 시스템이 스스로 운전하는 단계입니다.그러나 ‘완전 자율주행’이란 모든 인프라가 통신망과 연계하여 설치된 장소에서만 가능합니다. 출발지에서 목적지에 도착하여 주차할 때까지 경로상의 모든 데이터가 수집되어야 비로소 ‘완전 자율주행’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밖의 지역에는 무리가 있습니다.예를 들어, 시골에 가면 비포장 좁은 장소에 주차해야 하는 곳도 많고, 길도 없는 오지에서는 사람이 운전할 수 밖에 없습니다. 물론 불가능하진 않지만 앞으로 수십~백 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할 겁니다.

출처 Naver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