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처음 운전대를 잡은 것은 군대를 제대하고 운전면허를 따기 위해 교육용 차량을 운전할 때였습니다.면허연수를받은누구나공감하겠지만제일어려웠던코스는주차코스였습니다.
저는 주차하면서 이런 생각을 했어요. 바퀴가 더 부러지면 주차가 쉬울 텐데 처음에는 바퀴가 구부러지는 각도가 안전상의 이유로 덜 구부러지는 줄 알았는데 그 이유 말고도 기술적인 한계가 있었어요.보통 큰 차보다 작은 차를 더 쉽게 주차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계시지만 세단, 승합차, 승합차 등을 운전해 보신 분들은 오히려 승합차나 승합차 주차가 더 편하다고 느끼실 것입니다.그 이유는 봉고차나 트럭의 경우 바퀴의 회전반경이 더 큰데다가 차의 앞쪽이 둥글어지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 비집고 들어가기 쉽기 때문입니다.그렇다면 바퀴의 회전 반경을 90도까지 꺾을 수 있다면?
주성치 ‘소림축구’의 한 장면입니다 만약 전륜의 회전 반경이 90도 이상이면 주차 시 전후 공간이 거의 없어도 쉽게 빠져나갈 수 있습니다. 만약에 뒷바퀴까지 같이 90도 부러지면? 종이 한 장의 차이로 밀착해도 단 한 번의 조작으로 뺄 수 있지요?
하지만 기존의 가솔린, 디젤, LPG 등의 차량의 경우 구동 구조상 바퀴를 90도로 돌 수 없어요.그렇다면 전기자동차는? 전기자동차의 경우, 각 바퀴에 개별 모터를 장착하여 전기만 흘려보내도 작동이 가능하여 설계가 매우 자유로워집니다.
그래서 바퀴의 위치를 차의 앞, 뒤 양끝으로 할 수도 있고 바퀴를 90도까지 구부릴 수도 있습니다. 즉 최적의 주차시스템을 완성할 수 있는 것입니다.여기에 자율주행기술이 적용되면 주차걱정은 사라집니다. 차량 크기보다 조금 큰 공간이 있으면 일단 탑승객은 자동 주차 기능을 사용하기 전에 내린 후 리모컨으로 기능을 활성화시키면 자유롭게 주차할 수 있습니다.이렇게 되면 주차 공간의 효율성도 높아지고 일정 공간에 더 많은 차량을 주차할 수 있게 돼 주차 공간 부족 문제 해결에도 어느 정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하지만 현재 자율주행은 기술의 완성도에 비해 갈 길이 너무 멀어요. 인문학적 입장에서는 자율주행자동차라는 것이 처음부터 상용화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돌발사태 판단을 인공지능에 맡기는 것 자체가 책임소재를 불분명하게 하는 것이 가장 큰 문제이기 때문에 기술적인 완성보다는 이런 부분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내는 것이 가장 어려운 실정입니다.
하지만 자율주행기술이 이처럼 주차장이나 좁은 통로에서 후진이 어려운 경우 등 장애인을 위한 보조수단으로 쓰이는 것은 상당한 실용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현재의 전망으로는, 2025년 이후부터 이러한 기술이 채용된 차량이 보급될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