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출 6년 이후 미디어 생태계 ‘노창희의 미디어 인사이트’ 넷플릭스 한국

2022년 1월은 넷플릭스가 국내에 진출한 지 6년이 되는 시점이다. 특정 사업자의 국내 진출의 의미를 굳이 따질 필요가 있을까. 10주년도 아닌 6주년인데 대상이 넷플릭스라면 굳이 재확인할 필요가 있다는 게 필자의 생각이다.

2021년에는 ‘오징어 게임’으로 촉발된 IP 독점 문제, 아직 해결될 기미를 보이지 않는 인터넷 이용요금 문제, 이런 가운데 단행된 국내 요금 인상까지 넷플릭스와 관련된 이슈가 끊이지 않았다.

앞의 세 가지 문제는 2022년에도 쟁점이 될 것이 분명해 지금은 예측할 수 없는 새로운 이슈도 등장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위에서 본 이슈가 넷플릭스와 관련해 해결해야 할 현안이라면 넷플릭스가 국내에 진출해 미디어 생태계를 어떻게 바꿔 놓았는지를 지켜보는 것은 현안이자 앞으로도 계속 고민해야 할 과제다. 다시 ‘오징어 게임’으로 돌아가보자.

오징어 게임은 넷플릭스에서 압도적인 이용량을 기록하며 세계에서 올해의 콘텐츠로 선정될 만큼 성과를 거둬 오연수 배우가 골든글러브에서 남우조연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뤘다.

황동혁 감독과 주연을 맡은 이정재 배우를 비롯해 정호영 배우가 새로운 스타로 떠오르는 등 제작진의 이름이 전 세계에 알려진 것에서도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산업적으로는 뚜렷한 한계를 지닌 성과라는 점을 되돌아보지 않을 수 없다. 재무적으로 보면 국내 미디어 산업에 남은 것은 전체 제작비로 알려진 250억 중 넷플릭스 지급 비율로 알려진 10%에서 15%의 이익뿐이다.

넷플릭스가 국내에 진출할 당시에는 넷플릭스가 국내에서 충분한 가입자를 확보할 수 있을지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이 많았고 필자 역시 그랬다. 넷플릭스의 국내 가입자 수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범위를 넓혀 보면 크게 300만500만 사이로 추정된다.

넷플릭스는 콘텐츠 투자는 많지만 유료방송 사업자들처럼 설비투자를 하지 않는다. 물론 데이터베이스 맞춤형 서비스, UI/UX 등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다양한 투자를 하는 기업이다.

콘텐츠 투자는 IP를 남겼고 서비스에 대한 투자는 넷플릭스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 넷플릭스의 이미지 제고에 크게 기여했다.

넷플릭스와 관련된 여러 용어 중 넷플릭스 효과(Netflix effect)라는 말이 있다. 캐빈 맥도널드의 대니얼 스미스 로지는 넷플릭스 효과(유건식 옮김파주한울아카데미)를 마케팅 측면에서 선택의 폭을 넓혀 개인화를 높이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이들은 이런 넷플릭스 효과가 넷플릭스가 이익을 보는 제한적인 개인화일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하기도 한다.

넷플릭스가 제공하는 최적화된 서비스가 실제로 이용자에게 효용을 주고 있는지는 확인할 수 없지만 분명한 것은 넷플릭스가 서비스에 대한 투자와 그에 대한 마케팅을 통해 독보적인 이미지를 구축해 왔다는 점이다.

분기마다 발표하는 넷플릭스 IR 자료에 자주 등장하는 단어들이 있다. 바로 시대정신(zeitgeist)이다. 넷플릭스는 시대정신을 담은 콘텐츠를 제작해 가입자에게 제공할 것을 표방해왔다.

2021년 3분기 IR자료(FINAL-Q3-21-Shareholder-Letter)에서도 오징어 게임만큼 시대정신을 잘 포착한 콘텐츠 사례가 적다며 항상 시대정신을 강조하고 있다.

넷플릭스가 아카데미 같은 시상식에 꾸준히 참여하는 것도 단순히 영리를 쫓는 사업자가 아니라 가치 있는 콘텐츠를 제작하는 제작사라는 점을 부각시키고 싶기 때문일 것이다. 이런 노력은 넷플릭스가 현재와 같은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많은 전문가가 넷플릭스가 국내에서 연착륙하는 것에 회의했던 이유는 유료방송의 낮은 ARPU 때문이었다. 요금을 올린 넷플릭스의 요금제는 베이직 9,500원, 스탠다드 13,500원, 프리미엄 17,000원으로 구성됐다.

국내 유료방송 이용요금과 비교할 때 결코 낮은 수준은 아니다.

2022년에는 HBO 맥스, 아마존 프라임 같은 글로벌 사업자가 국내에 진출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그 어느 때보다 OTT 시장에서의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복수의 OTT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가 늘고 있는 상황에서 이용자가 부담할 수 있는 적정 이용요금이 얼마인지도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한다. 분명한 것은, 넷플릭스에 의해서 OTT 를 유료로 이용하려고 하는 유저의 지불 의사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고 하는 것이다.

넷플릭스는 2016년 한국에 진출한 이래 콘텐츠 생태계에 큰 변화를 가져왔고, 이에 따라 K콘텐츠의 위상은 더욱 높아졌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콘텐츠 산업의 내실 있는 성장에 대한 고민은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국내의 SVOD 시장에서는, 넷플릭스가 가장 많은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어, 이것에 의해 국내의 OTT 산업 경쟁력 향상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또 넷플릭스가 서비스 제공을 위해 협업하고 있는 국내 사업자들과 건전한 협력관계를 맺고 있는지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국내 사업자가 부당한 대우를 받고 있다면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과 함께 합리적인 거래기준으로 삼아야 한다.

넷플릭스뿐 아니라 다른 글로벌 사업자들도 국내 사업자와 협업할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6년이란 기간은 짧으면 짧고 길면 길지만 그 사이 넷플릭스에 의해 많은 것이 변화했다는 사실만은 분명하다. 2021년에는 디즈니플러스와 애플TV플러스가 국내에 진출해 글로벌 OTT 사업자의 국내 진출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넷플릭스가 국내 언론 생태계에 미친 긍정적 영향이 큰지, 부정적 영향이 큰지 측량하기 어렵다.

넷플릭스를 포함한 글로벌 사업자의 국내 마이너스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긍정적인 협력관계를 구축해 나가는 것은 건전한 미디어 생태계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노창희 카이스트 겸직교수, 노창희 카이스트 겸직교수◆노창희 박사는 중앙대 신문방송학과 석박사를 받은 방송전문가로 미디어미래연구소 방송통신정책센터장을 거쳐 카이스트 겸직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방송학회와 정보통신정책학회 편집위원, 방통위, 보편적 시청권 연구위원회 등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올바른 정책 방향에 대한 연구 및 저서 등을 발표하고 있다.

[출처] 넷플릭스 한국진출 6년 이후 미디어 생태계 (inews24.com)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