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우주산업의 인공위성 국산화 소식을 알립니다!
글/사진 미라쿠
#한화 #우주산업 #인공위성 #한화인공위성 국산화

안녕하세요 *_*~ 무더운 여름 잘 보내고 계신가요? 저는 이제 떠날 준비를 하면서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어요. 7월 말, 8월 초 갑작스러운 비 소식으로 일정을 연기하고 매일같이 일기예보가 바뀌기를 바래요. 요즘 일기예보를 자주 봐서 궁금하네요. 어떻게 체크할지 생각해봐. 사실 ‘기상위성’이 90분 간격으로 촬영하는 사진으로 기상청이 구름의 이동 경로, 비의 양 등을 예측하고 있다고 합니다.

오늘 서랍 정리하다가 발견된 유물들… ★ 제가 중학교, 고등학교 때 사용했던 핸드폰이랑 MP3에요. 요즘 친구들은 노래를 다운받아 MP3에 넣고 이어폰을 연결해 듣는 건 상상도 못하잖아요. 그러고 보니 과거의 나, 노래를 듣기 위해 부지런히 살았군요! 최근에는 실시간 스트리밍이나 4G, 5G까지 이용하고 있습니다. 이것도 ‘인공위성’ 덕분에 쓸 수 있대요!
그 외 실생활에서 볼 수 있는 라디오, 전화, 텔레비전의 데이터도 통신위성을 통해 주고받고 있습니다. 우리의 일상을 보다 쾌적하게 하기 위한 인공위성은 어떤 기술이 필요할까요? 한화 1인 미디어 기자단으로서, 한화의 인공위성 국산화 소식을 공유하세요!

출처 – ㈜한화블로그
인공위성 심장 국산화 나선다!
인공위성은 우주에서 어떻게 작동하는 걸까요? 인공위성 안에는 “추력기”라는 중요한 부분이 끊임없이 가동되어 우주 공간에서의 정상 궤도에서의 운행을 도와줍니다. 그런데 이 추력기에 연료가 떨어지면 자연스럽게 위성은 수명을 다하게 됩니다.
한화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위성이 더욱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저장성이원 추진제 추력기>를 함께 개발하여 국산화하기로 결정했다고 합니다!

출처 – ㈜한화블로그
위성을 우주로 쏘아 올릴 때 정지궤도 위성은 발사체에서 분리돼 더 높은 임무 궤도까지 자체 추력으로 올라가야 합니다. 다시 올라가면 15년 이상 버텨야 해요. 지금까지는 독일 등 해외 기업의 제품에 크게 의존해 왔지만 이제는 한화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힘을 합쳐 이원 추진제 추력기를 국산화하려 합니다.*_*~
위성은 우주에서 주로 정찰, 통신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국가안보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번 이원추진제 추력기의 국산화는 국력강화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출처 – ㈜한화블로그
사실 한화의 위성산업은 1990년대 중반부터 이루어졌습니다 그때는 이원 추진제가 아니라 단일 추진제로 시작한 거예요. 그때부터 쌓은 탄탄한 기술력과 경험으로 현재 우주에서 임무를 수행 중입니다.] 이번에 이원 추진제 개발에 참여하게 된 것입니다!
*** 단일추진제와 이원추진제의 차이는 연료와 산화제가 따로 분리되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확실히 이원 추진제 쪽이 효율성이 높고, 장기 보존이 가능한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출처 – ㈜한화블로그
2010년 대한민국은 세계에서 7번째로 정지궤도 기상위성을 보유한 나라라고 합니다. 덕분에 우리의 생활은 더 풍부해졌고 모든 것이 빠르게 변화할 수 있었습니다. 향후 ㈜한화의 독립적인 기술, 국산화에 성공하여 우주산업 경쟁력 강화에 초석이 되었으면 합니다! 아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