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년위기 상담=중년기란 전체 인구의 4분의 1인 4055세에 이르는 중년층 사람들이 경제적 정치적 권력을 행사하는 높은 지위에 앉아 나머지 4분의 3의 인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결정을 내리고 있다. 교회에서 중추신경 역할을 하는 사람들도 좋든 나쁘든 중년기의 사람들일 것이다. 대부분의 중년 연구자들은 마흔에 시작해서 예순에 끝난다고 말한다.
에릭슨에 따르면 40세부터 50세까지를 ‘성인기’라 칭하며, 이 시기에 나타나는 특성은 생산성 대침체 또는 ‘자기열중’인데, 자신의 삶에만 관심을 쏟지 않고 후손들과 미래의 역사를 위해 열정을 쏟는 기간이다.레빈슨은 중년기를 4060세로 본다.
중년기에 대해 어떤 학자들보다 가장 먼저 관심을 가졌던 사람은 융(G.C.Jung)이다. 융은 유년기의 심리학이라고 불리는데, 많은 사람들이 그것을 매우 중시했다. 융은 인생의 주기를 크게 인생의 전후반으로 나눈다. 여기서 인생의 전반기는 아동기와 청년기 및 젊은 성인기로 나누어지며, 이 시기는 외부 세계에 적응하고 조화를 이루는 시기이다. 후반부도 중년기와 노년기로 나뉘는데 내적인 세계에 적응하는 시기다. 융에 따르면 청년기와 청년기는 3540세 사이의 어느 지점에서 끝나며 중년기로 접어들기 시작한다.2. 중년 위기상황의 세월이 흐르면서 젊은 시절의 상쾌함은 퇴색하고 가족을 부양하며 자녀를 양육하고 노년기에 접어든 부모를 모시고 직장과 교회 사회에 대한 의무를 수행하기에 바빠지면 어느덧 40대 중년기로 접어들었다. 지난 세월을 아쉬워하며 초라하게 변해버린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고 심각한 충격을 받는다.
중년은 자신이 그토록 아끼던 많은 것을 갑자기 상실해 버린 듯한 허탈한 느낌을 갖지만, 자신의 가치체계가 흔들리면 불안감을 느낄 수밖에 없고, 이 불안으로 인해 사소한 일에도 지나친 반응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가볍게 즐겼던 격렬한 운동경기가 지금은 너무 힘들어 더 이상 할 수도 없고 예전엔 멀쩡하던 몸 여기저기가 쑤시기 시작한다. 그리고 계단이나 언덕이 훨씬 가파르고 높게 느껴진다.
과학의 급속한 발달로 우리가 익힌 기술은 더 이상 쓸모없게 됐다. 고용주들은 낡은 머리를 씻고 새로운 지식을 다시 부여하기보다는 최첨단 컴퓨터 지식을 갖춘 젊은 대학 졸업생을 채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면 직장을 잃을까봐 두려움이 생긴다. 비인간적인 산업사회는 풍부한 경험이 있어도 나이 든 사람에게는 매우 냉혹하다.
중년기가 되면 무엇보다 성기능에 위기가 찾아온다. 여성은 여성 호르몬의 변화가 가져오는 갱년기 증상이 나타나는데 앞으로 출산을 하지 않는 여성들까지도 월경이 끝나는 것을 자신의 매력이 사라지게 아쉬워한다.
남성들도 중년기에 접어들어 한동안 50대를 넘어서면서 자신의 성 기능에 적지 않은 혼란을 겪는다. 그래서 중년 남성들 중에는 직접적인 행위보다는 음담패설을 하거나 성을 화제에 자주 올리는 등 말을 통해 성적 욕구를 발산하려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난다. 그리고 전에는 필요를 느끼지 못했던 강렬한 자극을 찾아 헤맬 수도 있다.3. 중년기의 위기증상(1) 실존적 공허중년기가 될 때까지 사회적 지위를 획득하기 위해 쏟아진 에너지가 어느 정도 목적지에 도달하고 그 에너지가 철수해 버리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고 한다. 융에 의하면 중년기의 위기는 영적인 위기라고 한다.
젊음의 상실 중년의 사람들은 자신의 모습이 날이 갈수록 추해지기 때문에 육체적으로 더 이상 매력이 없음을 절실히 깨닫는다. 그러다 보니 중년이 되면 누구나 사라져가는 젊음을 놓치고 싶지 않아 초조해지는 경향이 있다.
이런 중년들의 몸부림은 주로 성적 행동으로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다. 그리고 자칫 바람으로 발전할 수도 있다. 바람을 피우는 사람들의 정신상태를 보면 정상적인 생각을 할 수 없는 게 보통. 마치 물에 빠진 사람이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이 그들의 마음이다. 바람기는 40대 후반, 50대 초반에 주로 일어나는 중년기의 홍역과 같은 증상이다.
(3) 과거와 미래에 관한 끊임없는 질문 중년기에 놓여 있는 사람들이 자신들을 돌아보며 느끼는 감정은 다음의 네 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첫째, 나는 실패자다. 이들은 술, 자살 또는 삶이 그런 것이라는 체념을 통해 실패감에서 벗어나려 한다.
둘째, 아직 실패냐 성공이냐를 결정할 때가 아니다. 이런 부류의 사람은 뭔가 미래에 획기적인 사건이 일어나기를 기대하는 사람이다.
셋째, 나는 어느 정도 성공했다. 넷째, 나는 완전히 성공했다. 실제로 성숙한 인격을 가진 사람은 내가 완전히 성공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죄책감=중년기가 되면 자신의 지난날을 되돌아보면서 정도에 따라 가볍지 않으면 심각하게 죄책감을 느끼기 일쑤다.
(5) 우울증 위에 말한 죄책감이 사라지지 않고 중년기를 괴롭힐 때 우울증은 서서히 뿌리를 내리기 시작한다. 여기서 벗어나려면 개인적인 가치, 자기 자신에 대한 확신, 그리고 자신의 역할을 다시 찾아야 한다. 그리고 신체적, 정서적, 지적, 영적인 면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하다 보면 쉽게 사라질 수 있다. 치료 방법은 나중에 말하도록 하겠다.4. 중년기의 위기상담(1) 영적 흐름에 순응하는 인생융(G.C. Jung)에 따르면 중년기가 되면 지금까지 외부로 향하던 생명에너지의 흐름이 내면으로 바뀐다. 이는 의식의 세계에서 자의적으로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무의식의 세계에서 자연스럽게 진행되는 과정이다. 이러한 생명 에너지의 방향 전환은 그 목표가 의미 있는 삶과 영적인 삶에 있다.
융에 의하면, 중년기의 환자를 보면, 모두 중년기에 접어들어, 생명 에너지의 흐름이 영적인 방향으로 전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영적인 흐름을 거스르려고 하는 사람들이 정신적인 질환에 노출된다 더 자세히 이야기하면, 인생의 방향성이 순리대로 사는 것이 아니라, 아직 외적인 쾌락으로 욕망을 채우려고 하는 사람들이 바로 중년기의 환자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