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 탄소 중립을 실현하는 한화 기후변화 대응기술을 통해

올 한 해 전 세계 최대 이슈는 무엇이었을까요? 바로 코로나와 기후위기입니다. 인류의 난개발을 더 이상 참지 않겠다는 지구의 경고를 체감할 수 있는 해였습니다. 세계는, 이러한 기후 위기에의 대응을 인류 전체의 과제로서 평가하고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한화는 오래전부터 친환경 사업을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와 탄소 중립에 대한 시나리오를 만들어 왔습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2050 탄소 배출량 제로를 향한 계획을 발표하는 등 기후 위기 문제에 적극적으로 임할 의지를 보이고 있습니다.Net Zero 달성을 위한 지속적 탄소 절감, 한화솔루션은 이러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가장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기업 중 하나입니다. 지난해 3월 한화솔루션은 “친환경 제품과 솔루션 개발을 통해 글로벌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기업으로 변신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또한 최근 [2050 NetZero]를 선언하고 사업장의 기존 온실가스 배출량과 향후 예상 수치 공개와 더불어 2050년 순배출 제로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적 삭감 목표를 소개하였습니다.

2018년 기준 한화솔루션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289만 톤이었습니다. 그리고 2년 후인 2020년에는 246만 톤을 기록해 2년 만에 15% 감축했습니다. 향후에도 지속적인 온실가스 배출 감소를 위해 구체적인 목표치와 달성 방안을 모색해 나갈 예정입니다.

또한 한화솔루션은 2020년 기준 246만 톤에서 신규사업으로 추가 발생하는 112만 톤을 포함하여 연간 총 358만 톤을 최대 배출량으로 측정하고 2050년까지 전량 절감을 위한 제품생산활동뿐만 아니라 경영활동 전반에 걸쳐 모든 사업부문으로 진출할 뜻을 밝혔습니다.

먼저 2월 한화솔루션큐셀 부문이 국내 신재생 에너지 기업 중 최초로 선언한 한국형 RE100(Renewable Energy 100%)에 모든 사업분야에 단계적으로 진출할 방침입니다. 또 현재 1% 미만인 재생 가능 에너지 전력의 사용 비중을 2030년 21%, 2040년 37%, 2050년 100%로 늘리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신재생 에너지 사업으로 확보해온 태양광, 녹색수소, 탄소포집저장활용기술(CCUS) 등 기후변화 대응기술(Climate Tech)을 적극 활용할 계획입니다.한화, 태양광 소재와 수소혼소 개발 등 우수한 기술력으로 글로벌 기후변화에 대응한다.

한화 계열사들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기술을 강조해온 만큼 이미 친환경 사업분야로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사업과 친환경 투자를 점차 확대해 친환경 에너지 상용화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먼저 한화솔루션큐셀부문은 개발 중인 고효율 태양광전지인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를 기반으로 차세대 태양광 소재 연구 개발에 투자를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이를 통해 태양광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재생 에너지의 활용으로 효율적인 온실가스 절감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한화솔루션케미칼 부문은 음이온 교환막(AEM) 수전자 기술로 생산한 녹색수소로 전기를 직접 생산하여 상업화할 계획입니다. 또한 2023년부터 기존의 LNG(액화천연가스) 대신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를 도입해 공장 가동에 필요한 스팀을 생산할 계획입니다. 2030년부터는 대기 중 및 배출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선택적으로 포집·저장했다가 산업적으로 활용하는 ‘탄소 포집·저장 활용 기술(CCUS)’을 통해 생산 과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혁신적으로 감축할 계획입니다.

[태양광에서 수소에너지까지 지구를 위한 한화의 탄소 중립 실천법]

환경파괴로 인해 지구가 위기에 처했다는 소식을 우리는 뉴스에서 자주 듣는데요. 환경보호를 위해 저는… blog.naver.com

한화임팩트는 기존 천연가스 기반 가스터빈을 수소와 천연가스를 혼합 연소시켜 전력을 생산하는 수소 혼소 가스터빈으로 개조하는 기술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 기술로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고, 대기오염물질인 질소산화물의 발생은 규정치보다 적은 9ppm 이하로 줄일 수 있습니다. 앞으로는 이산화탄소를 전혀 배출하지 않는 수소 전소 가스터빈으로 발전해 나갈 방침입니다만. 이 밖에도 한화는 현재 각 계열사가 보유한 기술을 융합 개발하여 수소 밸류 체인을 구축해 나가는 등 친환경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있으며, 핵심 기술을 보유한 기업과의 협업 및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통해 온실가스 절감 환경 조성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VR에서 만나는 그린 수소시티 ‘한화 에너지 이노베이션’ 전시관 방문]

한화그룹 수소사업의 현재와 미래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온라인 가상전시관 www.hanwhaenergyinnovation.com 탄소 중립을 위한 한화의 다양한 파트너십 (1) 녹색 수소 상용화를 이끄는 암모니아 기술

10월 초 ㈜한화글로벌 부문과 ㈜한화임팩트는 ㈜원익머티리얼즈, ㈜원익홀딩스와 함께 암모니아를 기반으로 한 수소 생산 및 공급 기술 개발을 위한 MOU를 체결하였습니다. 암모니아는 액화수소보다 부피당 수소를 저장하는 밀도가 높아 차세대 수소저장 및 운반수단으로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4사는 암모니아를 분해(크래킹,Craking)하여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 공동개발을 시작으로 향후 친환경 수소밸류체인 구축까지 힘을 모을 계획입니다.

국내 최대의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공정용 특수가스 전문기업인 원익마릴스는 약 20년간 고순도 암모니아를 정제 생산하면서 쌓아온 암모니아 취급 관련 노하우를 시작으로 2014년부터 암모니아 분해 수소 생산 시스템을 개발하여 핵심 소재인 촉매와 흡착제 기술과 시스템 설계에 대한 다수의 특허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원익홀딩스는 또한 특수가스 공급장치 제조 및 가스배관 시공 전문기업으로서 높은 수준의 청정도와 안전성 유지가 필요한 특수가스 공급 및 제어에 대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2018년부터 친환경 수소생산 기술 연구개발에 착수하여 다수의 특허를 확보하였으며, 현재는 암모니아 분해 수소 생산 시스템 및 고순도 수소 정제장치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번 협력에서 ㈜한화글로벌 부문이 지난 30년 이상 암모니아를 활용한 사업을 전개한 경험을 바탕으로 해외에서 생산되는 청정 암모니아 조달, 트레이딩, 암모니아 분해를 통한 수소 생산 측면을 담당할 계획입니다. 또한 한화임팩트가 보유하고 있는 수소가스터빈 전환 원천기술에 암모니아 개질수소를 활용하는 등 각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핵심기술을 통해 국내에 청정수소 공급과 그린수소 상용화를 선도할 예정입니다.

(2) 지속가능한 자연생태계를 위한 ESG협력

국립공원의 탄소중립 실현과 지속가능한 자연생태 보전을 위해 한화솔루션과 국립공원공단이 함께하고 있습니다 남한 국토 면적의 6%를 차지하는 국립공원은 매년 약 320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있어 거대한 친환경 탄소 저장고로 불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점차 심각해지는 기후 위기와 대기 오염 등으로 생태계가 무너지고 있는 것입니다. 이에 친환경 대표기업 한화솔루션이 아름다운 자연쉼터이자 지켜야 할 미래자산인 국립공원을 위해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먼저 한화솔루션은 지리산 아고산대(해발 1300~1900m)에서 고사 중인 구상나무 등 침엽수의 실태조사와 복원을 위해 전문인력 채용과 연구예산을 지원합니다. 그리고 현재는 국립공원 내 고지대에 위치한 일부 시설의 전력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화석연료 기반의 에너지원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상황입니다. 한화솔루션은 2022년 상하반기 두 차례에 걸쳐 북한산 생태탐방원과 지리산 노고단 대피소에 최대 97kW 규모의 태양광 발전 설비를 설치할 계획이며, 중장기적으로 고지대에 위치한 국립공원 대피소 등에 분산 발전소를 조성하는 방안도 추진할 계획입니다.

[조선실라배 살리기 위한 한화솔루션 친환경 캠페인]

얼마 안 남은 2021년 한 해를 마무리하면서 크리스마스 파티를 계획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 이렇게…blog.naver.com

한화솔루션과 국립공원공단은 이 밖에도 중장기적으로 국립공원 내 마을을 대상으로 에너지 효율 향상 및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다양한 친환경 프로그램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태양광발전을 기반으로 친환경 에너지 공급원 확대 등 탄소저감과 공원 생태계 보호를 위한 솔루션을 병행하여 국립공원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ESG 협력 모델을 만들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오늘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한화의 다양한 활동을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은 현 시대의 최대 목표이자 전 인류의 공통 과제가 되었습니다. 한화는 앞으로도 글로벌 차원의 탄소 중립 전환에 발맞춰 지속가능한 지구환경 조성을 위해 친환경 기술혁신을 이끌어 나가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한화저널 원문]

탄소중립사회를 구축하기 위한 <br>한화의 노력 www.

[한화솔루션 홈페이지]

차별화된 기술과 혁신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www.hanwhasolutions.com

[한화 임팩트 홈페이지]

한화 임팩트는 미래를 선도할 신성장동력과 세계 최고 수준의 석유화학 기술로 새로운 내일을 그려나갑니다.www.hanwhaimpact.com

[(주)한화 홈페이지]

(주)한화웹사이트에 방문하신 것을 환영합니다.www.hanwhacorp.co.kr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