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은 어떻게 폴더블폰의 강자가 됐을까.

(출처:삼성전자) 삼성전자가 10일(현지시간) 뉴욕에서 ‘삼성 갤럭시 언팩 2022(Samsung Galaxy Unpacked 2022: Unfold Your World)’를 개회하고 이를 온라인 생중계했다. 이 자리에서 삼성은 차세대 폴더블 스마트폰 ‘갤럭시Z폴드4’와 ‘갤럭시Z플립4’를 공개했다. 공개 전부터 무수한 소문을 낳은 삼성의 새 폴더블폰이 공개되자 각종 외신과 국내 언론이 주목했다. 삼성은 1세대 폴더블폰부터 4세대에 이르기까지 전작보다 개선된 제품을 꾸준히 선보였다. 그 결과 지난해 출시된 3세대 폴더블폰은 놀라운 성공을 거뒀다. 폴더블폰 시장의 80% 이상을 독점했다. 삼성은 이제 엄연한 폴더블폰 시장의 선두주자다.

노태문 삼성전자 무선사업부장·사장은 “갤럭시 폴더블 시리즈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다양한 소비자 요구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삼성의 혁신 철학을 구현한 제품”이라며 “앞으로 더 많은 소비자가 폴더블 제품을 경험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혁신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삼성은 이제 폴더블폰을 스마트폰의 미래라고 확신한다. 사람들에게 다소 생소했던 폴더블폰을 전 세계 수백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카테고리로 성장시켰다. 삼성은 어떻게 폴더블폰 시장의 최강자가 될 수 있었을까.

우선 폴더블폰 시장에 발을 들여놓았지만 거듭된 실패한 기업

첫 폴더블폰 ‘플렉스파이(FlexPai)'(출처: Royole) 삼성은 폴더블폰을 출시한 첫 번째 기업이 아니다. 많은 기업이 삼성보다 먼저 폴더블폰 시장에 출사표를 던졌다. 본격적인 제품 개발에 나서거나 출시까지 했다. 하지만 대부분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첫 폴더블폰은 중국 로얄(Royole)의 플렉스파이(Flex Pai)다. 이미 2세대 제품을 출시했으며 현재 차기작을 개발 중인 것으로 추측된다. 이는 대부분 중국에서만 사용돼 세계 시장을 겨냥하기에는 부족하다는 평가다. 중국 TCL도 최근 몇 년간 폴더블폰을 선보이기 위해 제품 개발에 전념했다. 당초 올해 출시를 계획했지만 부품 수급 부족과 폴더블 높은 생산비용으로 출시가 잠정 연기됐다. 화웨이는 폴더블폰을 출시했지만 대형 시장인 미국 시장 진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모토로라 ‘레이저(Razr)'(출처: 톰스 가이드) 모토로라는 2019년 폴더블폰 ‘레이저(Razr)’를 출시해 큰 관심을 끌었다. 그러나 부족한 내구성과 짧은 배터리 수명, 실망스러운 카메라 품질로 결국 높은 가격을 설득하지 못했다. 결국 모토로라 레이저는 초기 관심을 광범위한 판매로 이끌지 못했다.

구글도 지난해부터 픽셀(Pixel) 폴드를 출시할 것이라는 소문이 많았다. 하지만 지난해 11월 디스플레이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DSCC(Display Supply Chain Consultants)는 구글 디스플레이 공급망을 통해 뉴스를 얻었다며 회사가 오랫동안 진행해온 폴더블 프로젝트를 중단했다고 전했다. 지난해 삼성의 3세대 폴더블폰이 막대한 성장을 거두자 현재 기술력으로는 경쟁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CES에서 공개된 LG 롤러블폰(출처: LG) 국내에서는 LG가 폴더블폰 시장에서 삼성의 대항마가 될 것으로 평가됐다. 폴더블폰은 아니지만 ‘LG 윙(LG Wing)’과 같은 듀얼 스크린폰을 출시하기도 했다. 게다가 지난해 세계 최대 IT·가전박람회 CES 기조연설에서 곧 출시할 롤러블폰을 선보이기도 했다. 화면이 자유자재로 늘었다 줄었다 하는 롤러블폰은 LG가 가진 디스플레이 기술력을 보여주기에 충분했다. 폴더블폰에는 무엇보다 디스플레이 기술이 중요하기 때문에 LG 폴더블폰을 향한 기대는 특히 컸다. 하지만 LG는 롤러블폰을 공개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스마트폰 사업에서 손을 떼겠다고 밝혔다.

그 어려운 일을 삼성이 해냈다 삼성이 가진 강점은?

갤럭시Z플립 3 톰브라운 에디션(출처: 삼성전자) 수많은 제조사가 실패했지만 삼성은 성공했다. 분명 다른 제조사들도 폴더블폰 출시와 개발에 많은 노력을 했을 것이다. 단순히 삼성이 더 노력했기 때문에 성공을 이뤘다고 할 수는 없다. 그렇다면 삼성은 어떤 강점으로 폴더블폰 시장을 지배하게 됐을까.

영국의 가격비교 사이트인 유스위치닷컴(Uswitch.com)의 모바일 부문 전문가 어니스트 덕(Ernest Doku)은 삼성의 뛰어난 마케팅을 강점으로 분석했다. 그는 삼성이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으로 폴더블폰의 선구적 디자인을 잘 홍보했다고 평가했다. 실제 삼성은 지난해 출시된 3세대 폴더블폰과 다양한 브랜드 협업을 진행했다. 명품 톰브라운부터 세계적인 스타 BTS까지. 이러한 협업은 독특한 폴더블폰 디자인을 강조하기에 충분했다. 이는 삼성 폴더블폰 판매 증가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지난 10일 공개된 갤럭시Z 플립4(출처: 삼성전자) 폴더블폰 시장은 전체 스마트폰 시장에서 틈새시장에 불과하다. 하지만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필수적이어서 개발에 드는 비용이 상당하다. 화웨이는 미국 정부와의 갈등을 겪으며 미국이라는 큰 시장에 진출하지 못했다. 구글과 모토로라, LG는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자체가 낮다. 때문에 대부분의 제조사들은 수익 대비 막대한 투자가 필요한 폴더블폰 시장에 전념할 여유가 없었다.

하지만 삼성은 달랐다. 삼성은 2분기에 세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며 애플과 꾸준히 선두 경쟁을 하고 있다. 게다가 전 세계 어디서나 삼성 스마트폰을 찾을 수 있을 정도로 방대한 시장을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삼성은 다른 업체에 비해 당장 수익이 나지 않더라도 여유롭게 틈새시장을 공략할 수 있었다.

지난 10일 공개된 갤럭시Z폴드4(출처 삼성전자)는 자연스럽게 수차례 시행착오를 견디는 시간을 벌었다. 삼성은 갤럭시 폴드3 디자인을 무려 3차례 시도 끝에 완성했다. 한때 소시지를 사이에 두고 ‘핫도그 빵’이라고 조롱받았던 갤럭시 폴드는 3세대에 큰 성공을 거두며 반전 드라마를 썼다. 삼성은 집요하게 디자인과 내구성을 개선해 나갔다. 폴더블폰의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되던 접힌 부분의 주름이 눈에 띄지 않을 정도로 개선됐다. 깨지기 쉬울 것이라는 우려를 낳은 힌지도 외부 충격에 잘 견딜 수 있도록 소재를 꾸준히 업그레이드했다.

폴더블은 스마트폰의 미래…●애플의 참전 여부도 관건지도 관건

(출처: Giphy) 삼성은 폴더블폰 시장이 스마트폰의 미래라고 확신한다. 아직은 틈새시장에 불과하지만 새로운 형태의 스마트폰이 곧 더 많은 사람을 매료시킬 것으로 본다. 하지만 폴더블폰의 높은 가격이 진입장벽이 되고 있다. 설령 3세대를 출시하고 이전보다 저렴한 가격에 제품을 출시하더라도 여전히 높다는 평가다. 충분히 개선됐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발표한 4세대 폴더블폰에 대한 아쉬운 평가도 존재한다.

노태문 삼성전자 무선사업부장·사장도 이에 대부분 동의한다. 그는 IT매체 씨넷과의 인터뷰에서 높은 가격에 대해 “우리가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씨넷은 폴더블폰 시장이 주류가 돼야 가격 문제가 해결된다고 분석했다. 노사장은 씨넷에 “더 얇고 휴대성이 뛰어난 장치를 개발하는 데 계속 노력할 것”이라며 “이러한 노력이 폴더블폰을 시장의 주류로 이끄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폴더블 아이폰 예상 디자인(출처: iOS 베타뉴스/YouTube) 물론 삼성이 혼자 고군분투한다고 해서 모든 것이 가능한 것은 아니다. 폴더블폰 시장이 더 커지려면 애플이라는 경쟁사의 진출이 필수 요건이다. 애플은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관한 특허를 출원했지만 아직 폴더블 아이폰을 개발 중이라는 명확한 증거는 없다. 애플 소식에 정통한 애널리스트 명치국(MingChiKuo)은 2025년에야 폴더블 아이폰을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한다.

삼성은 폴더블폰 대중화에 큰 역할을 했다. 리서치업체 옴디아(Omdia)에 따르면 지난해 폴더블 스마트폰 출하량이 전년 대비 309% 증가했다. 지난해 출시된 삼성의 3세대 폴더블폰이 크게 기여했다. 하지만 폴더블폰이 시장에 나온 지 3년도 안 돼 여전히 돌파구가 필요하다. 삼성은 이달 26일부터 갤럭시Z플립4와 Z폴드4 판매를 시작한다. 삼성 신제품이 폴더블폰 시장에 어떤 반향을 일으킬지 향후 행보가 더욱 주목되는 시점이다.

테크플러스 에디터 이수현 테크[email protected] [fv0012] 스마트폰이 대중화된 이후 애플과 삼성전자가 시장을 이끌고 있다. 애플은 프리미엄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고 삼성전자는 전체 스마트폰 점유율에서 앞서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자료를 종합하면 애플은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의 60%를 점유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전 세계 contents.premium.naver.com 메타버스 안에서 공연하는 메타버스 콘서트도 마찬가지다. 원래 콘서트는 소비자가 티켓을 구입한 후 현장에서 공연을 관람하는 엔터테인먼트다. 메타버스 콘서트는 현장 무대를 가상현실로 옮겨왔다.tech-plus.co.kr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