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 (감정) vs T (사고) / P (인식) vs J (판단) 구별하는 E (외향) vs I (내향) / S (감각) vs N (직관) /

MBTI 특징=MBTI 관계의 갈등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성향들을 분석하기 위해 정말 열심히 외향(E), 내향(I), 감각(S), 직관(N), 감정(F), 사고(T), 인식(P), 판단(J)에 대해 공부했다.시간도 꽤 걸렸지만 확실히 깊게 들어가 보니 각 타입마다 장단점이 있다는 걸 잘 알았다.

각 성향을 잘 알아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외향형(E) 내향형(I)부터 모든 16가지 성격 유형의 기반이 되는 MBTI의 관계에 대해서도 간략히 정리해 보았다.

E vs IS vs NF vs TP vs J

외향(E), 내향(I) 구별 #E #I #외향 #내향 #외향차이

● E (외향) vs I (내향) 속도와 관심 범위의 차이

갈등에 있어 외향(E)의 침묵에는 동의, 관심 없음

내성(I)의 침묵은 생각이나 느낌을 밝힐 준비가 돼 있지 않음을 뜻한다.

외향, 내향의 큰 특징적인 차이를 보면

내향(I)은 혼자 있을 시간과 장소가 필요하다.

외향(E)은 관계를 통해서 상호작용을 해 나간다.

감각(S),직관(N)의구별 #S #N #감각 #직관 #감각직관차

● S (감각) vsN (직관)

감각(S) 직관(N)의 차이를 살펴보면 감각(S)은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측면, 구체적인 자료를 선호한다.

직관(N)은 세부사항을 놓치는 경우가 많은데 큰 나무를 보고 뜻을 파악한다고 한다.

감정 (F) 사고 (T) 차이 #F #T #감 정 #사고 #감정사고 차이

F(감정) vs T(사고) 칭찬에 관한 원칙과 진실성

감정(F)은 개개인의 상황과 환경이 반영된 해결책을 만들어 내려고 노력하고 개인의 정서적 상태에 귀를 기울인다.

사고(T)는 어떠한 한계를 정하여 모든 사람에게 공평하게 적용한다.또 답변과 해결책을 도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판단(J) 인식(P) 차이 #P #N #인식 #판단 #인식판단차이

● P (인식) vs J (판단)

인식(P)은 과정과 매 순간에 관심을 갖고 다양한 정보를 수집해 선택의 폭을 더 넓히려 한다.

판단(J)은 조직, 체계, 계획, 목표설정에 중점을 두고 그 계획의 이행에 중점을 둔다.

이 메일이 MBTI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MBTI # MBTI 분석 # 관계갈등 # ENFP # ENFJ # ESFP # ESFJ # ENTJ # ENTP # INFP # ISTJ # INFJ # INFJ # ISFP # ISFJ # ISTJ # ESTP # INTJ # ENTP

error: Content is protected !!